고창읍성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에 있는 조선시대 초기의 석축 읍성.
사적 제145호. 둘레 1,684m, 높이 3.6m.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한다.
이항(李恒)이
주민의 힘을 빌려 8년 만에 완성시켰다는 설과,
1453년(단종 1)에 축조되었다는 설이 있다
고창 읍성은
성곽둘레는 1,684미터,성벽축성법으로 보아 1573년으로 짐작된다.
동쪽으로 반등산(半登山)을 둘러싸고 있으며 동·서·북의 3문(門)과 6치(雉),
2군데의 수구문(水口門)과 옹성(甕城) 등이 있다
북문/첫 정문 출입구
지금까지 22동중 12동
(동헌, 객사, 풍화루, 공북루, 진서루, 등양루, 성황사,관청, 작청,내아. 향청,서청)이 복원되었고
앞으로 10동의 관아 건물도 복원할 계획이다
풍화루
고인돌
읍성내 전경 모습들
직 청
앞쪽으로 피어 있는
이름 모를 (구절초가 아닌지)꽃들이 아름답게 피어 있었다
고창읍성을 산책 하면서 밖에서 예상 했던 나의 생각보다는 달리
고창읍성이 견고하고 튼튼하게 성곽이 잘 증축되었다는것을 느낄수 있었고
수백년 묶은 도토리 나무 ,소나무등 수목들이 있었고
잘 정리 정돈된 모습에 아름다운 꽃과 성곽들이 조화가 잘 된것 같다
읍성/ 직청 앞쪽 갈대
객 사
읍성내 소나무 길
고창 읍성 / 성 곽
읍성/ 동문
동문치-동문
관 청
내 아
동 현
내아 동현 앞쪽 수백년 나무 숲
향 청
옥
고창 읍성 답성 놀이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한바퀴 돌면 다리병이 낫고
세바퀴 돌면 극락승천 한다는 전설이 있는곳
고창 읍성 외곽 성벽 모습들
전국에서 원형 가장 잘 보존된 자연석 성곽
읍성으로 가는 길은 시골길이어서 더욱 정겹다.
장성을 지나 고창방면 안내판을 따르면 길은 쉽게 따를 수 있다.
장성과 고창을 가르는 고갯길 정상에 서면
고창읍내가 한 눈에 들어오고 읍성도 쉽게 눈에 띈다.
고창 읍성은
동문,서문,북문 3개의 옹성과 6개의 치성으로 이루어진 전략 요충지로
하늘을 뒤덮는 노송과 빽빽하게 들어선 맹종숙이 아름다운 운치를 더하고
봄철에는 성곽 내외로 벚꽃과 개나리 철쭉등이 장관이라 한다
신채효 생가 모습
고창읍성 답사를 마치고 나오는 길에
남도 제일의 명창 신 재효 생가를 둘러 보았다.
신 재효와 그의 여 제자 였던 진 채선과의 애틋한 사랑이 깃든 도리화가에 얽힌
얘기를 듣고 보니 노래를 가르쳤다는 저 안방에서
진 채선의 아리따운 자태에 실려 은은한 노래가락이 지금도 들리는 듯 했다,
신 재효가
도리화가를 지어 한양에 있는 그의 연인,
진채선에게 보내었을 때 그의 나이 이미 59세,
진 채선이 24세였다니 무려 35년의 연륜을 뛰어 넘어 창이라는
예술을 통해 맺어진 지극한 순애보라고 해야할지...?
이 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을 가지고 있어,
평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문,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강화읍성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과
비교되어 성곽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의 성벽 밟기 풍습으로 유명한데,
한 해의 재앙과 질병을 쫓고 복을 비는 의식의 하나로 좋은 민속자료가 된다.
고창군은
선운산 도립공원인 선운사가 유명하고
세계 문화 유산 고창 고인돌 유적지가 유명하고
봄이면 청보리 축제,가을이면 가을 국화 축제 있고
해수욕장은 구시포 해수욕장과 동호 해수욕장 유명하다
또한
인촌 김성수 선생 생가와 미당 서정주 시인 생가가 있는 곳이며
한번 먹으면 오강단지를 껜다는 북분자가 유명한 곳이다
이렇게
고창에는 수 많은 유적지가 있고
먹거리..볼거리..우리 전통을 다 함께 감상 할수 있어 좋은것 같다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전화 번호 063-560-2710
'나의 추억 작품 글 모음 > 자작 여행 수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남대/대청호 (0) | 2009.10.26 |
---|---|
장성댐 조각 공원 (0) | 2009.10.04 |
담양 여행 (0) | 2009.09.30 |
대청호/문의 문화 재단 (0) | 2009.09.28 |
진주성 다녀 와서 (0) | 2009.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