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추억 작품 글 모음/자작 여행 수기글

직지사/김천

행복사 2011. 3. 27. 18:41

 

즐거운 주말을 맞이하여

칭구들과 함께 직지사를 찾았습니다

 

황학산 등산을 마치고 난 후에

황학산 줄기에서 흘러 내리는 물소리를 들으며

냇가의 버들피리를 비롯한 봄의 소리를 보고 듣고

상쾌한 기분으로 봄을 잠시 만끽하고 왔습니다

 

 

김천/직지사

고구려 승 아도화상이 신라땅에 불법을 전하고자

일선(선산)주에 와서 숨어 살다가 신라왕녀(성국공주)의

병을 고쳐 준 인연으로 불교가 허용되어 도리사와 함께

서기 418년 황학산 아래 절을 지어 직지사라 하였다

 

직지사(정문)/대한 불교 조계종

 

직지사 들어가는 첫 문이다

일주문이라기보다는 입구역할을 한다

정문에서 '동국제일가람황악산문'이라 쓰여 있다

 

 

정문을 통관한 후에는 일주문이 첫 관문인데

지금은 공사중이라 찍을수가 없었다

 

 

일주문에는 황악산직지사

원나라  때 뛰어난 서예가와 화가로 이름 날렸던

조맹부가 직접 쓴 황악산직지사 간판이다

 

대양문

 

대양문은 역시 자주 들어보는 이름은 아니지만

부처님의 대 광명을 지칭하는 글인가 합니다

 

금강문

 

일주문을 통과한 후에 대양문,금강문

사천문을 통과하면 만세루가 나오고 바로 대웅전이 나온다

 

천왕문

 

4명의 사대천왕이 지킨다

동방, 서방, 남방, 북방을 지킨다고 한다

 

사천왕문

 

사대천왕은 

수미산중턱에 살면서 사방을 지키고

불법을 수호하는 4명의 대천왕상이며

즉 동방에 지국천왕, 서방에 광목천왕,

남방에 증장천왕, 북방에 다문천왕을 각각 배치했다

 

만세루

 

이누각은 누하지님 으로 누안으로 들어간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 누각을 지나야 대웅전으로 가는데 예전의 종들은 여기까지 이고

밑에 앉아서 안을 보았다고 하니 슬픈 형상이 보이는 곳 같았다

만세루를 통과 하면은 대웅전이 보입니다

 

대웅전과 삼층석탑/대웅전 앞쪽에 양쪽으로 있다

 

대웅전앞 3층석탑

1974년 문경도천사지로부터 이전한 것으로

보물 제606호로 지정되어 있는 정교한 석탑이 아닌가 한다

 

직지사 대웅전(이완용 쓴글이라 함)

 

직지사 대웅전은 2층5간의 웅장한 규모였으니

임진왜란때 소실되어 1735년(영조11년)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아미타여래불과 약사여래불을

정면 5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으로 중건 되었다

 

 

대웅전안에 있는 불전내부의 후불탱화

보물 제670호로 1744년(영조20년)에 조성된 수작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대웅전 외벽3면에는 인간이 본성을 찾아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묘사한선종화가 그려져 있다

 

대웅전과 삼층석탑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 승노반과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수연, 용차, 보주까지 완벽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실은 상륜부는 전면적이 보수의 결과랍니다

 

범종각

 

경내에는 대웅전(1735 중건)을 비롯하여

천불이 모셔져 있는 비로전(1661 창건)

약사전·극락전·응진전·명부전·사명각등이 남아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금동6각사리함(국보 제208호),

석조약사불좌상(보물 제319호), 대웅전앞3층석탑 2기(보물 제606호),

비로전앞3층석탑(보물 제607호), 대웅전삼존불탱화 3폭(보물 제670호),

청풍료앞삼층석탑(보물 제1186호) 등이 있다

 

 

 

사명각

 

사명대사와 직지사

직지사는 임진왜란때 나라를 구한

호국선사 사명대사의 출가득도 사찰이다

 

사명대사는 (1544-1566)경남 밀양태생으로

본관은 풍천임씨로 속명은 응규,법명은 유정,호는 사명당이다

 

응진전

 

응진전은 고려 태조 14년(931) 능여 대사가 창건 하였으나

임진왜란에 전소되었던 것을 효종 7년(1656) 관음전으로

중건 하였다가 뒤에 응진전으로 개액 하였다

이건물은 구후 주지 녹원 화상에 의하여 중수 되었는데

기와 번와,단청 및 석조 축대까지 신축(1970.3.1~1971.11.30)되었다

 

 

비로전 동자상(현재는 문을 닫아 놓았다)

 

고려 태조때 능여조사에 의해 처음 세워진

바로전은 태조14년경잠대사에 의해 천불상이

봉안됨으로써 천불전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다

임진왜란때 소실을 면한 유일한 불전으로

정면 7칸 측면3칸으로 맞배지붕 구조 건물이다

 

 

동자상 불상

 

14개의 나무계단에 경주옥돌로 조성된

천개의 불상중 발가벗는 동자상을 첫눈에 발견하면

아들을 낳은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단다

 

3층 석탑/비로전 앞

 

비로전앞3층석탑, 보물 제607호

 

황학루

 

 

 

남월료

 

남월료는 사중의 강당이며

주지 녹원 화상에 의하여 2층으로 신축되었다

 

 직지사 남월료 장독대

 

1층은 공사의 대중이 거처토록 한

일종의 후원 형식 건물이고,

2층은 강원 학인들을 위한 강당이다

 

 

1·2층이 모두 정면 11간,

측면 6간의팔작지붕으로 총 232.2평이다.

현재 직지사 승가대학(강원)으로 사용중이다

 

 

직지사 법화궁 

 

김천 직지사

고려 태조 14년(931)에 능여대사가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고 1668년에 재건되었다고 한다

 

 

직지사의 교육원 모습이다

이곳에서 일반인들 불교에 관한 교육 다양한 불교 교육을 한다

현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교육을 하고 있는 중인 것을 보았다

 

  

 

이곳 직지사를 찾으면

주변에 볼거리,먹거리가 많이 있어 좋다

 

직지 도자기 박물관

직지공원

 

직지사를 가기전에

다양하고 아름답게 꾸며 놓은 직지 시민공원이 있고

직지사 앞쪽에는 김천 도자기 세계 박물관이 있고

뒷편으로는 백수 문학관이 있다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대성리 216 , 054-436-6174

 

 

2011.3.26

김천 직지사 여행 다녀와서

'나의 추억 작품 글 모음 > 자작 여행 수기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청댐에 봄이 오고 있어요  (0) 2011.04.02
직지공원/김천  (0) 2011.03.28
양산/통도사의 봄  (0) 2011.03.24
통도사를 찾아서  (0) 2011.03.18
현암사,구룡산  (0) 2011.03.13